🟥 동아시안컵
"아시아에도 유로 같은 대회 없나?"
월드컵이나 아시안컵은 알아도, ‘동아시안컵’은 생소한 분들이 많습니다.
그런데 이 대회, 알고 보면 한국 축구의 자존심을 건 전쟁터예요!
🟧
아시아 최강 라이벌인 한·중·일이 한자리에 모여 싸운다?
국대 선수들은 K리그, J리그, CSL 등 국내파 중심으로 구성되지만,
치열한 자존심 대결, 그리고 젊은 유망주의 테스트 무대로
축구 팬들에게는 놓칠 수 없는 진짜 빅매치입니다.
특히 일본과 중국의 실력이 꾸준히 성장하면서
과거처럼 “당연히 한국 우승”이라는 공식은 깨지고 있어요.
2022년 대회에서는 일본이 우승! 한국은 2위였죠.
"이번에는 반드시 탈환해야 한다!" 팬들의 열기가 다시 타오르고 있습니다.
🟨
📌 동아시안컵이 뭔지 제대로 알아보자!
- 정식 명칭: EAFF E-1 Football Championship
- 주최: 동아시아 축구연맹(EAFF)
- 참가국: 한국, 일본, 중국, (4위국은 예선 통해 진출 – 대만, 북한, 홍콩 등)
- 격년 개최, 남녀 모두 별도 대회로 운영
- 최근엔 ‘국내파 위주 대표팀’ 운영, 유럽파 미참여
📌 왜 중요할까?
- 월드컵, 아시안컵 다음으로 큰 '대표팀 간 라이벌전'
- 새 감독이나 신예 선수 테스트 무대
- 국내 리그 선수들의 기량 확인 기회
- 팬들에게는 ‘실전감 있는 A매치 대회’
🟩
이번 동아시안컵은 단순한 축구 경기를 넘어
아시아 축구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창입니다.
또한, 유럽파 없이도 얼마나 경쟁력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
대한민국 대표팀의 진짜 실력 확인 무대죠.
📺 중계는 TV조선, 쿠팡플레이 등에서 진행될 예정이며
국대의 새로운 스타를 발견할 기회가 될지도 몰라요!
🟦
⚠️ "축구는 월드컵만 보는 사람입니다" 하는 분들도
이번만큼은 봐야 합니다.
왜냐면...
- 한일전은 이유 따지지 말고 그냥 봐야죠!
- 선수들의 ‘간절함’이 월드컵보다 더 뜨거울 수 있습니다.
- 이 대회에서 잘한 선수가 월드컵 주전까지 꿰찼던 경우, 정말 많습니다.
📅 대회 일정 요약 (7월 7일~15일, 한국 개최)
- 개최 기간: 2025년 7월 7일(월) ~ 15일(화)개최 도시/경기장:
- 용인 미르스타디움 (37,155석)
- 수원 월드컵경기장
- 화성 종합경기타운
- 출전팀: 대한민국, 일본, 중국, 홍콩 (예선을 거쳐 홍콩 진출)
- 경기 방식: 라운드로빈, 각 팀 3경기 진행 후 순위 결정
예정 경기 일정
일자 경기 내용
7–8일 | 한국 vs 중국 (3–0), 일본 vs 홍콩 (6–1) |
11–12일 | 홍콩 vs 한국 / 일본 vs 중국 (예정) |
15일 | 중국 vs 홍콩 / 한국 vs 일본 (예정) |
🔥 최근 결과표
현재까지 2경기 진행되었으며,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한국 3–0 중국 (2골차 리드 → 깔끔한 완투승), 선제골 이후 안정적인 경기 운영
- 일본 6–1 홍콩 (전반 5–0 → 대승), 최종 스코어 6–1로 압도
순위 및 경기 현황
- 일본: 3점, 득실 +5 (1경기)
- 한국: 3점, 득실 +3 (1경기)
- 중국: 0점, 득실 –3 (1경기)
- 홍콩: 0점, 득실 –5 (1경기)
🧑🏟️ 선수 명단 분석
각국 26명씩 구성된 최종 명단(7월 5일 기준). 주요 사항 요약입니다.
한국 (감독: 홍명보)
- 국내파 위주의 구성, K리그 중심
- 수비라인 안정적이며, 유망한 미드필더 포함
- 대표적인 선수: 조현우(골키퍼, 클린시트 기록), 이동경, 주세종 등
일본 (모리야스 하지메 감독)
- 2022년 우승국, 이번에도 강력한 승자 후보
- 공격진: 류 준기만(Ryo Germain) – 현재 대회 득점왕 4골·7.83 골/90분 기록!
- 어시스트: 유키 소마(Yuki Soma) – 3도움으로 공간 창출 능력 탁월
중국, 홍콩
- 중국: 외국 감독 조던 비롯해 수비 전력 보강 기대
- 홍콩: 예선 우승으로 올라왔으며, 국제 무대 경험 부족 (홍콩 vs 일본 1–6 참패)
728x90
반응형